Redis란?Redis(Remote Dictionary Server)는 오픈 소스 기반의 인메모리(in-memory) 데이터 구조 저장소로, 매우 빠른 읽기/쓰기 성능을 제공하는 Key-Value 저장소다. 단순한 Key-Value 저장소를 넘어 다양한 데이터 구조를 지원하여 캐시(Cache), 메시지 브로커, 세션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Redis의 주요 특징✅ 빠른 성능: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므로 디스크 기반 데이터베이스보다 빠른 응답 속도를 제공함 (평균 응답 시간 ✅ 다양한 데이터 구조 지원: String, Hash, List, Set, Sorted Set 등 여러 데이터 타입을 제공.✅ 지속성 옵션 제공: 데이터를 디스크에 저장할 수 있어 장애 발생 시 데이터 복구 가능.✅ Pu..
Redis
![](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kPD7l%2FbtsF6H62emo%2FR8xiTIDyeExo2bKB87G8a1%2Fimg.png)
WebSocket, Stomp, Kafka, MongoDB, MySQL, Redis를 사용하여 채팅 기능을 구현하였다.이번에는 시간 타입 변경(String -> LocalDateTime)에 의한 성능 개선 경험 그리고 Kafka를 사용한 성능 개선 경험에 대해 작성해보려 한다. 성능 테스트 구성테스트에 앞서 WebSocket 테스트를 위해서는, JMeter에 WebSocket 플러그인을 설치해야 한다. Thread Group 구성웹소켓 연결 시작(WebSocket Open Connection)웹소켓 연결 요청(SEND CONNECT)채팅방 구독 요청(SEND SUBSCRIBE)메시지 전송(SEND CHAT)응답 대기(READ CHAT)웹소켓 연결 해제(DISCONNECT)※ 이때, 채팅방 구독 해제와 웹..